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상이군경회 커뮤니티
상이군경회 커뮤니티
상이군경회 소개 상이군경회 커뮤니티 상이군경회 알림방
자유게시판
회원상담 자유게시판 군경회에 바란다 보훈법령 의견수렴
자유게시판
■. 육군 故 김 한준 예비역 대위 육군장으로 거행!
작성일 2012-05-07작성자 송철효조회수 1,378

■. 육군 故 김 한준 예비역 대위 육군장으로 거행!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개           요.

 

▲. 일 시 : 2012年 05月 01日 11:00.

 

▲. 장 소 : 國立大田顯忠院.

 

▲. 주 관 : 陸 軍.

 

▲. 목 적 : 故 김한준 육군대위 영결식.

 

▲. 장 례 : 陸軍葬.

 

▲. 인 원 : 육군 참모총장 외 간부 그리고 전북 무공수훈자 회

 

도지부 장 外 30名.

 

▲. 기 후 : 화창하고 완연한 봄날.

 

▲. 사 진 : 첨부 하였습니다.

 

 

●. 故 김 한준 예비역 육군대위 공적.

 

▲. 故 김 한준 예비역 육군 대위는 7사단 예하 연대 1중대장으로 1953년

 

07월 20~22일 강원도 화천 북방 425고지 전투에서 60㎜ 박격포를 이용해

 

1개 중대 병력으로 중공군 1개 대대를 섬멸하는 눈부신 전과를 거뒀으며 화

 

천 북방 425고지가 뚫리면 당시 전력 공급원인 화천댐을 잃게 돼 아군은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김 대위가 지휘하는 중대가 425고지

 

를 사수함으로써 사단의 주보급로를 확보했으며 전력 공급원 화천댐 사수에

 

일조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녔으며 무엇보다 김 대위는 1953년 07월

 

20일 새벽 중공군이 결판을 내려는 듯 공세를 멈추지 않아 고지 피탈 위기

 

에 놓였었습니다. 김 대위는 육탄으로 적을 저지하는 길밖에 없다고 판단하

 

고 김 대위는 통신병은 대대본부에 무선으로 보고하라. 하며 지금부터 1중대

 

는 중대장 이하 전원이 진지로 나아가 적을 격멸한다. 이렇게 보고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이어 김 대위는 적의 공격축선을 측방에서 공격하기 시작

 

했으며 얼마나 격렬한 전투를 벌였는지 혼전 중 그는 의식을 잃고 말았

 

습니다. 그가 九死一生으로 의식을 되찾은 것은 중공군이 방어선을 넘지 못

 

하고 425고지 공격을 포기한 뒤였습니다. 1중대는 전사자 8명과 52명이 부

 

상당해 후송되었습니다. 

 

▲. 김 대위는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태극무공훈장을 받는 영광을 한

 

몸에 안았다. 김 대위는 1956년 05월 30일 예비役 대위로 전역했습니다. 김

 

상기 陸軍參謀總長이 30일 陸軍葬을 치르는 고 김 한준 예비역 대위 殯所를

 

찾아 헌화 조문하였습니다. 선배 전우들의 고귀한 희생을 우리 후배들은 결

 

코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예비역 육군대위 出身의 太極武功勳章 수훈자

 

에 대한 陸軍葬이 1일 오전 國立大田顯忠院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 육군은 지난달 29일 노환으로 세상을 떠난 고 김 한준(83) 예비역 대위

 

장례를 陸軍葬으로 치르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육군이 지난해 10월 육군

 

장 대상에 太極武功勳章 수훈자 중 전사자로 돼 있었던 기존 규정을 태극무

 

공훈장 수훈자로 개정함에 따른 것이다. 육군은 긴급 육군 장 심의위원회를

 

열어 김상기 陸軍參謀總長이 직접 승인했습니다. 지금까지 육군 장은 역대

 

참모총장 10명과 고 강재구 소령 고 김 홍한 장군 모두 12차례를 치렀습니

 

다. 일반 太極武功勳章 수훈자를 대상으로 육군 장을 하기는 육군 규정 개정

 

후 처음입니다. 太極武功勳章 수훈자 가운데 육군 출신은 64명이며 이 중

 

15명이 살아 있습니다. 

 

 

●. 故 김한준 예비역 육군대위 약력.

 

▲. 김 대위는 1929년 02월 08일 全北 完州에서 태어났으며 1947년 국방

 

경비대에 자원입대해 일등병에서 하사로 임관하여 6·25전쟁 당시 7사단 8연

 

대 소속으로 평양입성 작전에 참가했습니다. 1950년 11월 15일 육군소위로

 

현지 임관해 주요 전투에 참전해 太極武功勳章 忠武武功勳章 2개 화랑무공

 

훈장 수훈을 받을 정도로 혁혁한 전공을 세운 전투영웅입니다. 동생 김한봉

 

(81)씨는 눈을 감는 순간까지 나라가 위태로우면 다시 소총을 들고 최전방

 

에 나가 싸우겠다고 말할 정도로 투철한 국가관이 있었다. 고 말했습니다. 

 

▲. 유가족은 부인 양옥자(81)와 아들 김정혁 等 2남 4녀이고 빈소는 전북

 

대 병원에서 3일장으로 조문을 받았습니다. 뒤늦게 소식을 접하고 찾은 장병

 

과 일반 조문객들은 고인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렸습니다. 영결식과 안장식

 

은 05月 01日 午前 11時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렸습니다.

 

 

●. 故 김한준 예비역 육군대위 영면하신 國立大田顯忠院.

 

▲. 설립 배경.

 

국립서울현충원은 1955년에 설치되어 20여 년간 日帝强占期 愛國志士와 한

 

국전쟁의 전사자가 안장되었으나 이내 안장능력이 한계에 달하게 되었다. 따

 

라서 국군에서는 1974년 12월 16일 중부지역에 새로운 국군묘지를 창설할

 

것을 결정하였고 1975년 02월부터 10월까지 제 2국립묘지의 후보지를 답사

 

하였다. 이듬해인 1976년 04월 14일에는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읍 갑동리에

 

대전국립묘지를 결정하여 1979년 04월 01일에 착공하게 되었으며 1979년

 

08월 29일에 국립묘지관리소 대전분소를 설치함으로써 대전에도 국립묘지가

 

설치되게 되었습니다.

 

▲. 變遷史.

 

1974년 12월 16일 국군에서 중부지역에 새로운 국립묘지 창설을 결의

 

1974년 04월 14일 새로운 국립묘지의 위치를 충남도 대덕군으로 결정

 

1976년 04월 01일 대전국립묘지 착공하여 1979년 08월 29일 국립묘지 관

 

리소 대전분소가 설치되었습니다. 1982년 08월 27일에 사병이 최초로 안장

 

되었으며 1985년 11월 13일 대전국립묘지가 완공되어 1991년 03월 28일

 

국립묘지 대전 관리소로 승격 1996년 06월 01일 대전국립묘지에서 국립대

 

전현충원으로 명칭을 변경 2005년 07월 29일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소방공무원과 의 사상자도 안장이 가능해졌으며 법적으

 

로 대전국립묘지의 이름을 국립대전현충원으로 변경되었고 국립 서울현충

 

원과는 달리 국가보훈처 관할로 소속이 변경되었습니다. 2006년 01월 대통

 

령령 제19286호의 공포로 대통령령에도 국립현충원의 이름을 국립대전현충

 

원으로 변경하였습니다.

 

▲. 安葬 對象.

 

★. 군인 및 군무원으로 전사 또는 순직한 자.

 

★. 전사한 향토예비군, 장관급 장교 또는 20년 이상 군에 복무한 자.

 

★.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이 현저한 자.

 

★. 국장(國葬) 또는 국민장으로 장의 된 자.

 

★. 순국선열 및 애국지사, 군인·군무원·경찰관으로

 

전투·공무수행 중 상이를 입고 퇴직 후 사망한 자.

 

★. 임무수행 중 전사·순직한 경찰관, 국가 또는 사회에

 

공헌한 공로가 현저한 자.

 

★. 大韓民國에 공로가 현저한 외국인 사망자. 感謝 합니다!  

 

●.2012年 05月 01日. 國家報勳處 알림이 및 諮問委員 龍湖 宋 哲 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맨위로가기